라벨이 知足知止인 게시물 표시

[스크랩] 靜坐觀心(정좌관심)-知足知止(지족지지)

▶ 靜坐觀心 < 정좌관심 >     △고요한 뒤에야 능히 안정이 되며 안정된 뒤에야 능히 생각할 수 있고 깊이 사색한 뒤에야 능히 얻을 수 있다 ( 靜而後能安 安而後能慮 慮而後能得 ) 『대학』에 나오는 말입니다 . 마음이 우선 안정돼야 생각이 깊어질 수 있겠지요 .    △하루의 절반은 독서를 하고 나머지 절반은 정좌를 한다 ( 半日讀書 半日靜坐 )    △가난 속에서도 마음은 가을 물처럼 맑고 , 고요해진 마음은 봄바람처럼 부드럽다 ( 淡如秋水貧中味 和似春風靜後功 ) ”   ▶ 知足知止 ( 지족지지 )- 분수를 지켜 너무 탐내지 않음 [ 知足 ] 과 분에 넘치지 않도록 그칠 줄을 아는 일 [ 知止 ].    △ 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 ( 지족불욕 지지불태 가이장구 ; 스스로 만족함을 알면 욕되지 않고 , 분에 맞게 머물 줄 알면 위태롭지 않아 , 언제까지나 편안할 수 있느니라 .)< 노자 老子 도덕경 44 장 道德經四十四章 >  △ 知止而後有定 定而後能靜 靜而後能安 安而後能慮 慮而後能得 ( 지지이후유정 정이후능정 정이후능안 안이후능려 여이후능득 ; 머무름을 안 뒤에야 자리를 잡나니 , 자리 잡은 뒤에야 능히 고요할 수 있으며 , 고요한 뒤에야 능히 안정이 되며 , 안정된 뒤에야 능히 생각할 수 있고 , 깊이 사색한 뒤에야 능히 얻을 수 있느니라 .)< 대학 大學 >  △ 神策究天文 妙算窮地理 戰勝功旣高 知足願云止 ( 신책구천문 묘산궁지리 전승공기고 지족원운지 ; 신묘한 계책은 하늘의 온갖 일을 깊이 알았고 , 기묘한 헤아림은 땅의 이치를 다 통했구려 . 싸움에 이긴 공적 진작에 높거니 , 만족함을 알아 원컨대 그만 그치시라 .)< 을지문덕 乙支文德 증수우익위대장군우중문 贈隋右翊衛大將軍于仲文 > [ 출처 ]   靜坐觀心 ( 정좌관심)- 知足知止 ( 지족지지) | 작성자   pinmingxu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