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한국언론진흥재단]사람을 공부하는 '인문 독서'가 필요한 이유

사람을 공부하는 ‘인문 독서’가 필요한 이유 도란도란 '에피소드' 2014/04/11 16:09 ▲ 출처: flickr by VisitBritain Images 사람들은 중요한 일을 미루는 데 천부적 재능을 갖고 있습니다. 운동이 몸에 좋다는 것은 상식이지만, 사람들은 규칙적인 운동에 시간을 내지 못합니다. 인스턴트 음식이 몸에 안 좋다는 것을 모두 알고 있는 반면, 그런 음식을 끊는 일은 미루게 됩니다. 그들은 내일부터를 외치는데 익숙합니다. 세계적인 자기계발전문가 스티븐코비는 ‘소중한 것을 먼저 하라’고 강조했습니다. 그 말은 일상의 우선순위가 뒤바뀌었다는 것을 의미하죠. 계속 미루다간 우린 늙고 결국 죽는다는 것이 문제가 될 뿐이라는 건데요.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지 못한 이들에게 시간은 넉넉하지만, 그걸 아는 순간 우리에게 남겨진 시간은 짧아지고야 맙니다. 삶의 목표는 분명해지고, 가야할 방향이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독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책을 읽는 습관은 의지만 있다면 언제나 실행 가능합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책읽는 것을 멀리했던 어제처럼 살고 싶어하죠. 요즘 지하철 풍경은 천편일률입니다. 모두 스마트폰에 고개를 박고 귀에는 이어폰을 꽂고 앉아 있어요. 개성이라곤 조금도 찾을 수 없는 풍경입니다. 책을 읽고 있는 이들을 발견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사람들은 읽는 것보다는 듣고 보는 일을 좋아하고 즐기게 됐습니다. 그러고도 사회 전반적으로 불고 있는 인문학 공부 열풍은 역설적 아닌가요?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넘어 사람들은 인문학 강좌에 몰리고 있습니다. S BS CNBC의 대중 인문강의 `나는 누구인가(WHO AM I)에 등장하는 명사들 면면을 보면, 소설가 베르나르베르베르에서 세계적 철학자 슬라보예지젝까지 대중성과 깊이를 동시에 아우를 정도로 진화했습니다. 구름과 같은 관중이 강연을 듣기 위해 모여들지만, 그 효과는 의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