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김형경 소설가인 게시물 표시

[신문사설] 경향신문 제 21616호 (2015. 1. 26. 월요일) "오피니언 지면" pp.29~31.

[김형경의 뜨거운 의자]   김형경(소설가) <자기 삶의 주인이 된다는 것>  " 타인의 눈으로만 바라보는 나, 만족감은 없고 공허함만 커져 일그러진 거울을 깨는 용기와 기성세대의 관용을 기대한다."   첫 시작은 소설가 김형경의 실제 경험이다. 그러나 두 문단이 지나고 나면 진정한 서론이 나온다. 아래는 그 서론의 일부분이다. (...)타인과 사회에 해가 되지 않고, 공동체의 미풍양속을 해치지 않고, 법에 저촉되는 반사회적 행동이 아닌 이상 나는 무엇이든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다고 믿는다.   아래에 인용한 문장을 담은 문단부터 진짜 이야기가 시작된다. (...)사회에서 스승이나 어른으로 모셨던 권력자와 헤어지면서 스스로 진정한 어른이 될 준비를 하는 것이다. 물론 모든 선택과 결과에 대해서는 본인이 책임져야 한다. 그것이 참자기, 주체적 삶, 자기 삶의 주인 되기 등의 언어로 표현되는 삶의 내용들이다.   문단 하나를 인용하고자 한다. 내면에 주체성이 형성되지 못했을 때 가장 큰 문제는 공허감이다. 무엇을 해도 만족감, 행복감을 느끼지 못한다. 그럴수록 오히려 주변 사람에게 맞추기 위해 입장을 바꾸고, 타인과 어울리기 위해 행동을 변화시키고, 조직에 소속되기 위해 개성을 마모시킨다. 자기를 잃은 현대인들이 위험한 이유는 사회적 개인에서 일탈의 군중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사회학자들은 말한다. 그들은 외부 기준과 요구에 자기를 맞추느라 일그러진 거울 같은 자아를 갖고 있다고 심리학자들은 말한다.  두 문장을 더 인용하고자 한다. 참자기, 주체적 삶, 자기 삶의 주인 되기 등을 실현하기 위한 첫 번째 조건은 당사자의 용기일 것이다. (중략) 그보다 중요한 또 한가지 조건이 있다면 젊은이들을 대하는 기성세대의 관용이라고 생각한다.  명심보감의 해당 구절이 떠오른다. 아래에 있으며, 正己篇에 있는 내용이다.  子曰 三人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