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대만인 게시물 표시

경제와 정치 분리하는 방안 제시, 대만(臺灣)

이미지
 딱히 잘 보게 되는 언론사는 아니지만 조선일보에서 괜찮은 평론을  담은 기사가 있어서 아래에 링크를 건다. 조선일보 : 脫중국 대만, 세계 1위 성장... 중국 눈치보는 한국에 완승 그리고 위 기사를 다룬 대만 언론사 三立iNEWS의 유튜브 영상도 짧막하지만 아래에 첨부한다. 중국 주변국 중에서 중국에 대한 경제 의존도가 낮은 국가가 존재하기 어려울 만큼 중국의 경제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이는 당연하게도 G2라는 경제적 지표가 정확하게 증명하고 있고 실제로 중국과 무역을 하지 않으면서 경제 성장을 이루기 어려울 만큼 21세기 세계 경제에서 중국을 구조적으로 언급하지 않을 수 없는 수준에까지 도달했다. 그렇지만 중국과 정치적으로 동맹을 할 필요가 있을까? 중국 내부에서조차 경제와 정체는 별반 다르게 운영하고 있을 만큼 철저히 경제적 이익을 챙기는데 집중하고 있고 정치에 있어서는 전세계 정치 트렌드와는 철저하게 다른 노선을 걷고 있다. 최근 유럽연합(EU)이 중국과 경제 협정을 맺었는데 한국이 EU와 FTA를 맺을 때 사형 폐지를 내걸었던 걸 생각하면 중국과의 FTA 체결에서 사형 폐지를 거론하지 않은 게 어불성설로 보일 수 있겠지만 이는 EU 또한 경제에 있어서는 정치와 별개로 운영하는 게 훨씬 이익이라고 본 판단일 것이다. 북한 때문에 중국과 어쩔 수 없이 손 잡아야 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아무리 중국과 좋은 관계를 맺더라도 북한과 중국 두 국가 간의 동맹 관계를 뛰어넘을 수 없기 때문에 사실상 이 전략이 좋은 효과를 발휘하기란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북한 정권의 붕괴가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중국이 동북공정[东北边疆历史与现状系列研究工程] 등 각종  실질적인 행보를 고려하면 한반도에 대한 실효적 지배권을 챙기려고 노력하지 고스란히 한국 정부에게 해당 권리를 허용하려고는 하지 않을 것이 분명하다. 당장의 무역에 있어서 실질적 이득을 위해서 중국과 정치적으로까지 좋은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까? 대만의 최근 10년을...

대만Taiwan의 「新南向」정책이 물거품 될지도…

台灣新南向註定泡沫化 고속 성장을 이어오던 1990년대에 한국의 IMF 외환위기와 함께 경제적 모순이 함께 드러났던 아시아의 4마리 용, 그중 하나였던 대만 또한 많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다. 이와 반대로 기회를 잡게 된 중국이 경제적으로 초고속 성장을 하게 되는데. 10억 명이 넘는 인구에서 쏟아져 나온 값싼 노동력이 전 세계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비교적 여유 있는 구매력으로 변모하고 있는 중이다. 물론 여전히 노동 강국이다. 앞으로는 소비 강국으로서의 지위는 더욱 커질 것이다. 반면에 중국의 주변 국가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끌어안고 달래기 위해 「一帶一路일대일로」 정책과 ‘AIIB 아시아 인프라 투자 은행’ 운용이 시작 단계를 맞고 있다. 지난 4월 정치적으로 홍콩香港을 말살하는데 성공을 거둔 중국은 더욱 동남아시아를 향해 걸어나갈 것이다. 한 번 미끄러지기 시작해 밑도 끝도 없이 아래로 추락하고 있는 대만의 위상이 언제쯤 회복의 국면으로 들어설 수 있을까? 二零零六年,美國智庫普瑞格國際安全公司出版了由前外交官、現為海軍戰爭學院教授波希瓦 (Bronson Percival) 所著《大龍向南看》(The Dragon Looks South) ,是一本討論二十一世紀東南亞和中國關係的戰略著作。中共的革命政黨屬性,及在東南亞的中美鬥爭及中俄鬥爭,使得中國與東南亞一直處於不正常的緊張狀態,直至一九九零年代鄧小平當家,才以「開放改革」、「睦鄰政策」為基礎,推動與東南亞關係全面正常化,這就是美國學者及媒體所謂「大龍向南看」,也是「中國的大南向」。綜合而言,「大龍向南看」產生了如下效果︰ (一)中國在前外長錢其琛努力下,已成東盟國家成長的領頭羊。二十一世紀,東南亞的印尼、菲律賓、泰國、越南及馬來西亞都有高成長,這不能不說是中國的貢獻;中國推動「一帶一路」及「亞投行」這種大策略,東盟國家受惠最多。 (二)自中國創辦博鰲論壇起,中國已成東盟國家整合為一體的最大平台,「東盟加一」和「東盟加三」,甚至發展為亞洲大整合,整個亞洲已成全球最大成長點。正因中國與東盟的高度整合,所以美國放棄「跨太平洋夥伴協議」,亞洲的整合必將更為穩固。在「亞投行」的帶...

드러내면 부끄러우나 드러냄으로써 경각심을 일깨우는 臺灣의 楊俊斌 기자의 기사 한 편

이미지
台能 擋 幾天?一場無法打贏的戰爭 타이완이 며칠을 버텨낼 수 있을까 ? 싸워 이길 수 없는 전쟁 해당   기사를   쓴   양준빈 ( 楊俊斌 )  기자 台灣的軍事專家都在討論,年年花費上百億美金構築的防線,能 夠 抵 擋 多久來自解放軍的攻擊,「是五天?還是七天?」。 事實不管五天還是七天,最終是一場無法打贏的戰爭。以目前台灣的國防思維,想的都是防衛,擁有全世界密度第二高的防空飛彈網,卻可能在戰事烽起的前三天消耗殆盡,雖有性能和實戰性都不差的「雄三」反艦飛彈,卻也有著射程過短,以及載具被 毀 的疑慮。 台灣在國防上建軍次序,以空軍 為 先,海軍次之。 F-16 、幻象 2000 和 IDF 原先擁有質的優勢,在解放軍空軍各式新世代戰機服役後,已失去優勢,就算有改良後的 F-16V 加入,也難以應付解放軍空軍「跨世代」軍備的發展。海軍以四艘「紀德艦」 為 主,配合拉法葉、成功艦等約三十艘主力艦隻,構成台灣海軍的主力。不過老舊和妥善率過低依舊困擾著海軍,最新銳的「沱江艦」,也有著噸位過小,缺乏防空飛彈的缺點。就算將來有「海劍二」防空飛彈服役,仍需要有國防預算支援籌建才 有形成戰力可能。潛艇戰力更是乏善可陳, 2 艘二戰末服役已有 70 年艦齡的老潛艦還在當戰力展示。陸軍的狀況更嚴重,美軍已拿去 填 海當漁礁的 M60A3 坦克,竟還是台灣陸軍的主力,新裝備的「雲豹」甲車,卻掩藏著火力不足的隱憂。 所有軍備改良和外購,都必須有「銀彈」做後盾。大陸早已經是世界第二大經濟體,台灣的經濟卻走下坡,自然影響到國防實力,已難以和解放軍相提並論。 如果打的是一場短期而有限的戰爭,台灣或許有機會,如果面對的是一場長期消耗戰,台灣一點機會也沒有。 http://www.chinatimes.com/newspapers/20170220000582-260301

대만 인기사이트 순위(2013년 8월 22일 집계) Top Sites in Taiwan

1. Yahoo! yahoo.com A major internet portal and service provider offering search results, customizable content, cha... More 2. Facebook facebook.com A social utility that connects people, to keep up with friends, upload photos, share links and ... More 3. Google繁體中文搜尋 google.com.tw 提供網路、新聞、圖片等搜索服務。特色包括 PageRank 網頁排行榜、頁庫存檔、搜尋結果翻譯及類似網頁查尋。... More 4. 痞客邦 PIXNET pixnet.net 提供網路相簿和部落格服務。 5. Google google.com Enables users to search the world's information, including webpages, images, and videos. Offers... More 6. YouTube youtube.com YouTube is a way to get your videos to the people who matter to you. Upload, tag and share your... More 7. Mobile01 mobile01.com 「全球華人最注目的社群網站是哪個?」這問題的答案非常簡單,就是Mobile01!... More 8. 卡提諾 論壇|討論區 ck101.com 卡提諾論壇將網路新聞、時事議題與討論區相互結合,為台灣近年新興起的網路媒體。從2010年至今,連續四年榮獲數位時代票選台灣百大網站--社群類前十強,為台灣網路知名的社群媒體。 旗下包含 ht... More 9. 無名小站 wretch.cc Photo Album and Blog 網路相簿及網路日誌 10. 104人力銀行 104.com.tw 104是最多求職者使用的人力銀行,提供找工作、找人才之專業便利的求職求才服務,包括查詢工作、刊...

[공유] 대만 학생단체 '국회점거' 중단…23일만에 자진 해산

이미지
네이버 연합뉴스 출처 대만 학생운동 단체 대표가 지난 7일 향후 행동계획을 밝히는 모습. (AP=연합뉴스DB) '對중국 정책'관련 사회분열…국민당 당내갈등 '불똥' (타이베이=연합뉴스) 류성무 특파원 = 대만 학생운동 단체가 10일 입법원(국회) 장기 점거 농성을 중단하고 23일 만에 자진 해산했다. 학생운동 단체는 이날 오후 6시10분(현지시간) 농성을 풀고 입법원 본회의장을 걸어나왔다. 이들은 입법원 주변 도로에서 기다리던 점거 농성 지지 대학생, 시민 등과 함께 해산집회를 연 뒤 서비스 산업시장을 중국에 개방하는 데 반대한 이번 시위를 마무리했다. 집권 국민당이 일방적으로 중국과의 서비스무역협정 비준안을 상임위에서 통과시킨 것에 반발해 지난달 18일 기습적으로 입법원 본회의장을 점거한 지 23일 만이다. 학생단체는 "이 시점이 모든 투쟁의 중단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 투쟁의 시작일 뿐"이라면서 "양안(兩岸·중국과 대만)협력 감독장치의 법제화 과정을 주시하겠다"고 밝혔다. 당국은 이날 3천여 명의 경찰력을 입법원 주변에 배치해 돌발 상황에 대비했다.  이번 자진 해산 결정은 왕진핑(王金平) 입법원장(국회의장)이 학생들의 핵심 요구 사항인 '양안협력 감독장치 선 법제화 뒤 양안 서비스무역협정 심의'를 약속한 것이 돌파구가 됐다. 일부 강경파 학생 등은 앞으로도 입법원 일대를 근거지로 부정기 집회를 여는 방식으로 국회 감시 활동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만 여야는 11일 정기회 회기를 재개해 민생법안 처리 등에 착수한다. 대만 당국은 학생시위 관련자 처벌과 관련해서는 '예외 없는' 원칙 처리 방침을 확인했다. 대만 헌정사상 초유의 입법원 점거 사태가 학생들의 자진 해산으로 마무리됐지만, 파장은 이어질 전망이다. 마잉주 정부의 친중국 정책을 '견제'하기 위한 양안협력 감독장치 법제화는 국민당과 야당인 민진당, 학생단체 등의 시각차가 커 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