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鄧紫棋인 게시물 표시

【중국어 노래 가사 번역 韓譯中文歌】 G.E.M.鄧紫棋 덩쯔치 〈孤獨 Loneliness 고독〉

이미지
1. 序 중국어 공부 초창기엔 鄧紫棋[덩쯔치] 노래도 정말 많이 들으면서 가사를 참 많이 베껴써보려고 생각만 했지, 실천했던 적은 별로 없었다. 멜로디를 흥얼거리며 가사를 떠올려보긴 했지만서도 직접 따라 적어보면서 공부해본 적도 거의 없었던 걸로 기억한다. 지금은 크게 노력하지 않아도 스쳐 지나가는 중국어 한 마디에 잘도 반응하고 중국어를 있는 그대로 기억하고 머릿속에서 분해도 하고 재조립도 한다. 비록 이런 단계에까지 왔지만 현실은 고달프기만 냉랭할 따름이다. 특히 한국어로 풀어낼 때면 중국어를 통째로 받아들이는 것에 비해 수십배로 골이 깨지는 느낌을 받는다. 그런데도 계속 【중국어 노래 가사 번역 韓譯中文歌】 혹은 【홍콩어 노래 가사 번역 韓譯粵語歌】 시리즈를 이어나가고 있는 건 다름 아닌 열정 하나에만 기대기 때문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저 내가 하고픈 그리고 하면 재미있고 설령 시간이 오래 걸리고 아무런 금전적 보상이 없어도 하고 싶으니까 말이다. 2. 〈孤獨 Loneliness〉오피셜 MV in YouTube 3. 중국어 가사 및 한국어 번역 작사:G.E.M.鄧紫棋 / Ludwig van Beethoven 작곡:G.E.M.鄧紫棋 작사와 작곡에 대한 기본 정보는 위와 같고 본격적으로 중국어 가사와 한국어 번역을 진행하기 전에 먼저 중국어 가사 한 소절씩 제시하고 각 소절마다 한국어 번역을 이어서 제시한다는 걸 명시합니다. 중간에 등장하는 영어 가사는 한국어 노래 가사 속 처리 방식과 같게끔 따로 번역을 하지 않고 영어 가사만 있는 그대로 둡니다. 랩 특성상 영어 단어를 개별적으로 중국어 가사 내 녹여낸 표현의 경우, 또한 영어 단어를 그대로 살려서 번역한다는 점도 밝혀둡니다. 또한 곡조의 변화와 가사 전달을 좀 더 확실하게 드러내기 위해 8개 단락으로 쪼개었음도 미리 알려드립니다. (一) 又是另一個夜 雨飄的夜 또 다른 밤이 왔어, 비바람이 부는 밤이지. 在一條喧鬧後的街 我望著月亮 시끄러웠던 때가 지난 거리에서, 난 달을 바라보고 있어. 忘了是雨還是淚水突...

현대 중국어 “差不多”와 胡適《差不多先生傳》, MC HotDog 《差不多先生》, 鄧紫棋《差不多姑娘》

이미지
현대 중국어를 구사함에 있어 “差不多”라는 표현은 다소 독특하다. 일찍이 중국 근대 문학의 대표 문인 胡適(1891~1962) 선생이 지은 《差不多先生傳》 문학 작품이 당시 중국 문단에 영향을 준 이래로 역대 중국 산문집에 꼭 거론되는 작품 중 하나로 손꼽히는데 이 전기(傳記) 작품의 주인공이 바로 다름 아닌 “差不多”라는 이 표현이다. 또한 “差不多” 표현은 華語樂壇[중국어 음악계]에도 적지 않은 반향을 일으키는데, 2008년 발표된 대만(臺灣) 인기 래퍼 MC 熱狗[엠시 핫도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差不多先生》이 언어의 마술을 부렸고 2019년 7월 21일 홍콩(香港) 현세대 실력파 가수 鄧紫棋가 발표한 《差不多姑娘》이 다시 한 번 “差不多”를 재차 소환한다. 1. 현대 중국어 “差不多” 필자 개인적으로 현대 중국어 회화 속 양대 산맥을 이루는 일상 표현이 두 개 정도 있다고 생각한다. 하나는 “隨便”, 또 다른 하나는 “差不多”다. 특히 중국어를 중국 대륙에서 지정한 서울말인 「普通話」로 접하고 배웠다면 이 두 표현에 훨씬 더 익숙할 가능성이 클 것이다. 전자 “隨便”은 ‘아무거나’, ‘맘대로’ 등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이 표현은 비교적 교양 있는 버전의 “隨意”로 상위 호환할 수 있다. 그런데 후자 “差不多”는 독보적인 표현임은 물론 생각보다 짧지 않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독보적이라는 이유는 해석이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이 정도 작성하면 되나요?”라고 했을 때 “差不多”라는 답변이 되돌아온다면 대충 어느 정도 분량에 맞췄다고 여길 수 있다. 또 “자, 이제 ‘差不多’ 잘 시간이야”라고 하면 이때는 반강제적인 의무가 포함되어 있다. 열심히 창문을 닦은 후 “差不多了”라고 표현한다면 이는 어떤 행위의 완성과 완료를 나타낸다. 또한 굉장히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기도 한 점 또한 그러하다. 이와 함께 근대 중국문학의 대표 문인 胡適(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