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날씨 이야기인 게시물 표시

날씨로 빚어낸 역사 이야기, <날씨가 만든 그날의 세계사>

이미지
발해 ( 渤海 ) 의 역사와 백두산 ( 白頭山 ) 화산 폭발이 서로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 우리는 모두 한 번 이상은 대자연 앞에서 인간은 한낱 자연의 구성원일 뿐임을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다 . 날씨 , 이는 얼마나 위협적이고 변화무쌍한 존재일까 ? 개인적으로 추운 날씨를 극도로 싫어한다 . 여태껏 폭설을 겪어본 적은 없는데도 말이다 . 자연재해에도 무감각한 편이다 . 대부분의 사람이 그렇듯이 , 뉴스를 통해 접하는 홍수 , 태풍 , 지진 등과 같은 소식이 잠시나마 우리들에게 자연의 무서움과 위력을 느끼게 해준다 .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잊고 나와 같이 무감각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지 않은가 . 자연재해와 관련해서 원인과 과정을 분석해서 보도해주는 뉴스도 있다 . 그렇지만 우리는 그러한 뉴스에도 제대로 관심을 못 가져줄 만큼 바쁘다 . 무엇 때문에 바쁜지는 모르겠지만 . ‘ 개츠비의 독서일기 ’ 네이버 (NAVER) 블로그에서 진행되는 ‘ 새로나온책 증정 이벤트 ’ 로 얻은 도서 < 날씨가 만든 그날의 세계사 > 는 앞서 이야기한 ‘ 날씨 ’ 로 인해 발생한 내 스트레스를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었다 . 저자 ‘ 로날트 D. 게르슈테 ’ 는 날씨라는 요소를 역사 속에 잘 버무려내었다 . 그래서 읽는 내내 날씨보다는 역사를 읽었다는 느낌이 더 강하게 남는다 . 특히 , 이러한 느낌은 21 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중요한 역사적 메시지를 전해줌으로써 , 오랫동안 우리의 기억 속에 남을 것이다 . 책 속의 내용을 빌리자면 , ‘ 로마를 번영케 만든 날씨 ’, ‘ 마야 문명이 멸망한 진짜 이유 ’ 이 두 가지 주제로 집약해서 앞서 언급한 중요한 역사적 메시지를 정리할 수 있다 . ‘ 날씨 ’ 라는 요소를 과장시킨 것은 맞다 . 그렇지만 , 만약 기원전 200 년부터 기원후 300 년 동안 있었던 ‘ 로마제국의 기후최적기 Roman Climatic Optimum’ 와 9 세기에 발생했던 기상이변이 없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