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강호의 도가 땅에 떨어졌도다인 게시물 표시

[서평] 세 번째 맞이하는 중국현대소설 <강호의 도가 땅에 떨어졌도다>

이미지
세 번째 맞이하는 중국현대소설 <강호의 도가 땅에 떨어졌도다>  <강호의 도가 땅에 떨어졌도다> 생애 최초로 읽은 중국현대소설은 2014년에 읽은 모옌(莫言) 작가의 <열세 번째 걸음>이다. 두 번째는 중국 우한에서 교환학생으로 공부하던 시절인 2015년에 읽은 딩모(丁墨) 작가의 <他来了请闭眼>이다. 그리고 올해 2017년 네이버 블로그‘개츠비의 독서일기 2.0’에서 ‘새로나온책 증정 이벤트’로 볼 수 있게 된 다빙(大冰) 작가의 <강호의 도가 땅에 떨어졌도다>이다. 참고로 본 도서의 원제는 <阿弥陀佛 么么哒>인데 직역하자면 ‘아미타불 뽀뽀~’정도가 된다. 아무래도 책의 제목으로 내놓기에는 조금 어려운 게 아닐까 싶은데…… 한국어 번역서의 제목으로는 누구에게나 익숙할 법한 것으로 출간되었다. 작가 다빙 大冰 <강호의 도가 땅에 떨어졌도다> 책을 읽는 내내 ‘이게 정말 소설일까?’라는 의문이 들 정도로 책 속에 빠져들었다. 워낙 중국이 땅도 넓고 사람도 많다고는 하지만 교환학생 시절 스스로를‘문인’으로 부를 만큼 인터넷 서점과 오프라인 서점을 많이 들락날락 했는데 다빙 작가의 작품을 한 번도 못 들어보았으니 충분히 오해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허나 ‘옮긴이의 글’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책 속에 실려 있는 다섯 가지 이야기 모두 실화이다. 단순히 사실을 나열하면 재미가 없으니 소설로 분장시킨 게 아닐까? 첫 이야기로 등장하는 ‘유랑가수 라오셰 老谢’부터 ‘거리 예술가로 쓰고 길거리 가수라 읽는 S’까지 각 이야기를 한 번 읽기 시작하면 반드시 그 이야기의 끝부분까지 단번에 읽었다. 결말이라고 쓰지 않았다. 왜냐하면 해당 인물들이 여전히 지구를 누비며 살아서 그들 본연의 이야기를 계속 이어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어쨌든 이 책을 읽는 동안 이야기의 흐름을 끊고 싶지 않아서 최소한 각각의 장마다 휴식을 취했을 만큼 다섯 이야기 모두 각자의 색깔을 분명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