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사설인 게시물 표시

[신문읽기] 경향신문 2015년 3월 13일 금요일 제 21653호

이미지
얼마 만에 블로그에 글을 쓰는 지 모르겠다... '오피니언' 부분만 언급하고자 한다. 가장 먼저 나온 것은 '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이다. 왜 오피니언의 첫 부분을 장식하고 있는 지 알 수 없다. 그저 자신을 자랑하는 내용만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이를 읽으면... 그래, 같은 직종의 사람이라면 이해하고 공감을 하겠지만 대한민국에서 정년퇴직을 하는 교수가 도대체 몇 명이나 될까... 보수동 책방골목에서 책을 팔아볼까 다음 내용은 아래 제목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응당 '이이제이(以夷制夷)'라는 표현에 혐오감을 느껴야 하겠다. 그러나 정확히 인지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지혜를 이제는 가져야 한다. 이 내용의 핵심은 "중국이 진정으로 한반도의 사드 비채를 반대한다면 미국과 직접 해결해야 한다."라는 문장이다. 필자는 이미 반복을 통해서 강조하고 있었다. 정치 이야기를 담론하는 것조차 싫지만 대한민국이 불가피하게 마주치게 될 암울한 미래를 밝게 만들기 위해서는 과거의 중립외교와 같은 실리적인 외교력을 무조건 갖추어야 한다. 중국의 '이이제이' 전술, 역으로 이용해야 다음은  '땅콩 회황' 미국 법정에 설 수 있을까  이다. '땅콩 회항'은 매우 중요한 사건이었다. 대한민국에서 흔하디 흔했던 '갑질'을 사회적으로 조명받을 수 있게 만들어준 사건이기 때문이다. 제발 뉴욕주 법원에서 해당 사건을 다루어주었으면 한다. 다음은 오늘자 경향신문 중에서 두 번째로 인상깊게 읽은 오피니언이다. 생존의 격차 '생존의 격차'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던 '격차의 지표'인 '평균기대수명'의 오해를 일으키고 있는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서 '건강기대수명(HLE)'을 알려주고 있다. 요점은 빈부격차가 곧 생존의 격차라는 것이다. 실제로 기대수명은 20세기가 시작될 때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