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읽기] 경향신문 2015년 3월 13일 금요일 제 21653호
얼마 만에 블로그에 글을 쓰는 지 모르겠다...
'오피니언' 부분만 언급하고자 한다.
가장 먼저 나온 것은 '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이다. 왜 오피니언의 첫 부분을 장식하고 있는 지 알 수 없다. 그저 자신을 자랑하는 내용만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이를 읽으면... 그래, 같은 직종의 사람이라면 이해하고 공감을 하겠지만 대한민국에서 정년퇴직을 하는 교수가 도대체 몇 명이나 될까...
다음 내용은 아래 제목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응당 '이이제이(以夷制夷)'라는 표현에 혐오감을 느껴야 하겠다. 그러나 정확히 인지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지혜를 이제는 가져야 한다.
이 내용의 핵심은 "중국이 진정으로 한반도의 사드 비채를 반대한다면 미국과 직접 해결해야 한다."라는 문장이다. 필자는 이미 반복을 통해서 강조하고 있었다. 정치 이야기를 담론하는 것조차 싫지만 대한민국이 불가피하게 마주치게 될 암울한 미래를 밝게 만들기 위해서는 과거의 중립외교와 같은 실리적인 외교력을 무조건 갖추어야 한다.
독/일/중/한, 네 나라의 원전 이야기
2011년 3월 후쿠시마 사태 이후 한국은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설치했고 독일은 원자력윤리위원회를 설치했다. 이 이원회(원자력윤리위원회)는 2021년까지 독일 내의 모든 원전을 폐쇄하고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것을 건의했고, 얼마 후 독일 정부는 실제로 원전 폐쇄와 에너지 전환을 결정했다.
독일의 클라우스 퇴퍼 박사는 또 이렇게 말한다. "에너지 전환은 사회모델의 전환을 가져온다. 원자력은 몇 개의 독과적 기업이 생산할 수밖에 없지만, 재생에너지는 중소기업이나 개인도 생산할 수 있다. 독일에는 800개 이상의 에너지 협동조합이 활동 중이다."
협동조합이라... 대한민국에서 "협동조합"은 매우 어긋난 의도와 운영으로 인해 엄청나게 왜곡되어 있다. 그에 반해 독일과 일본 등의 "협동조합"은 대한민국의 그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너무 부러울 뿐이다.
필자의 명필이 느껴지는 부분도 소개한다.
유령 도시
시간의 구분을 깨버리는 작품은 이미 다양한 작품과 매체를 통해서 언급이 되고 있다. 경계의 정확한 구분은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 "공의 경계(空の境界)"가 떠오른다.
저니맨
역시 축구선수 '박주영(30)'과 관련된 이야기가 왜 안 나올까 싶었는데... 의리축구의 산증인을 대한민국프로축구리그로의 복귀를... 마냥 반겨야 할까?
다음은 가장 인상깊게 읽을 수 있었던 오피니언이다.
우리는 미국을 잘 알고 있는가?
가장 마지막 부분만 인용하고 마무리 짓겠다.
금리 내린다고 소비/투자 살아날까
'오피니언' 부분만 언급하고자 한다.
가장 먼저 나온 것은 '강명관의 심심한 책읽기'이다. 왜 오피니언의 첫 부분을 장식하고 있는 지 알 수 없다. 그저 자신을 자랑하는 내용만 있을 뿐이기 때문이다. 이를 읽으면... 그래, 같은 직종의 사람이라면 이해하고 공감을 하겠지만 대한민국에서 정년퇴직을 하는 교수가 도대체 몇 명이나 될까...
다음 내용은 아래 제목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응당 '이이제이(以夷制夷)'라는 표현에 혐오감을 느껴야 하겠다. 그러나 정확히 인지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지혜를 이제는 가져야 한다.
이 내용의 핵심은 "중국이 진정으로 한반도의 사드 비채를 반대한다면 미국과 직접 해결해야 한다."라는 문장이다. 필자는 이미 반복을 통해서 강조하고 있었다. 정치 이야기를 담론하는 것조차 싫지만 대한민국이 불가피하게 마주치게 될 암울한 미래를 밝게 만들기 위해서는 과거의 중립외교와 같은 실리적인 외교력을 무조건 갖추어야 한다.
다음은 '땅콩 회황' 미국 법정에 설 수 있을까 이다.
'땅콩 회항'은 매우 중요한 사건이었다. 대한민국에서 흔하디 흔했던 '갑질'을 사회적으로 조명받을 수 있게 만들어준 사건이기 때문이다. 제발 뉴욕주 법원에서 해당 사건을 다루어주었으면 한다.
다음은 오늘자 경향신문 중에서 두 번째로 인상깊게 읽은 오피니언이다.
'생존의 격차'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던 '격차의 지표'인 '평균기대수명'의 오해를 일으키고 있는 부분을 해결하기 위해서 '건강기대수명(HLE)'을 알려주고 있다. 요점은 빈부격차가 곧 생존의 격차라는 것이다. 실제로 기대수명은 20세기가 시작될 때까지도 인류 전체의 수명은 그다지 늘어나지 않았다고 한다.(2010년 세계 평균 기대수명은 67.2세, 20세기 초는 30세를 조금 넘김, 구석기시대 수렵채집인은 대략 33세였다고 한다.) 그리고 필자는 가장 마지막 문장을 이렇게 정리한다.
인명은 하늘이 아니라 사회적 조건에 달려 있다.
독/일/중/한, 네 나라의 원전 이야기
2011년 3월 후쿠시마 사태 이후 한국은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설치했고 독일은 원자력윤리위원회를 설치했다. 이 이원회(원자력윤리위원회)는 2021년까지 독일 내의 모든 원전을 폐쇄하고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것을 건의했고, 얼마 후 독일 정부는 실제로 원전 폐쇄와 에너지 전환을 결정했다.
독일의 클라우스 퇴퍼 박사는 또 이렇게 말한다. "에너지 전환은 사회모델의 전환을 가져온다. 원자력은 몇 개의 독과적 기업이 생산할 수밖에 없지만, 재생에너지는 중소기업이나 개인도 생산할 수 있다. 독일에는 800개 이상의 에너지 협동조합이 활동 중이다."
협동조합이라... 대한민국에서 "협동조합"은 매우 어긋난 의도와 운영으로 인해 엄청나게 왜곡되어 있다. 그에 반해 독일과 일본 등의 "협동조합"은 대한민국의 그것과는 차원이 다르다. 너무 부러울 뿐이다.
필자의 명필이 느껴지는 부분도 소개한다.
우리 선박 기술을 몰라서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것이 아니듯이, 문제는 항상 그 기술을 운용하는 사람과 조직, 그리고 사회의 둔감성 때문에 일어난다.국가 역량의 문제가 크게 들어나는 놀라운 사건들의 연속이 우리나라의 뉴스를 장식하고 있다...
유령 도시
시간의 구분을 깨버리는 작품은 이미 다양한 작품과 매체를 통해서 언급이 되고 있다. 경계의 정확한 구분은 점점 희미해지고 있다. "공의 경계(空の境界)"가 떠오른다.
저니맨
역시 축구선수 '박주영(30)'과 관련된 이야기가 왜 안 나올까 싶었는데... 의리축구의 산증인을 대한민국프로축구리그로의 복귀를... 마냥 반겨야 할까?
다음은 가장 인상깊게 읽을 수 있었던 오피니언이다.
우리는 미국을 잘 알고 있는가?
가장 마지막 부분만 인용하고 마무리 짓겠다.
(...)우리는 각자가 그리는 하나의 미국만을 보면서 미국을 알고 있다고 자만하는 것은 아닌가? 어쩌면 우리가 잘못 생각하고 있다는 사실도 미국이 지적해주어야만 알아듣는 것이 아닌가 싶어 더욱 우울하다.단통법이 소비자를 울리고 있다
단통법 이후 누구는 휴대폰을 저렴하게 구입하고 누구는 비싸게 사는 그런 불공평함이 사라지는 대신에, 국민 모두 비싸게 사는 구조로 바뀌게 된 것이다.대한민국 정부는... 아니지 대한민국 국회의원들은 진짜... 할 말이 없다. 국민 모두가 투표를 하기 힘들어서 투표권을 잠시 빌려주는 것이 국회의원의 진짜 임무가 아닌가? 국민의 하소연과 어려움을 들어서 국민이 원하는 법을 대신 발언하고 투표하는 것이 본연의 임무이거늘... 지금은 국회의원 또한 엄청난 관직이다.
그러나 단통법 이후, 거품 공급가는 눈감아주고 지원금만 축소했기에 단말기 제조회사와 통신회사와 같은 대깅버은 팡파를 울리고 판매 자영업자와 소비자는 독배를 마시는 결과를 초래했다. 불합리한 단통법은 소비자 보호관점에서 대대적인 방향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마지막 사설이다.
금리 내린다고 소비/투자 살아날까
저성장 시대에 걸맞은 산업 구조조정과 그에 따른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가 우선돼야 한다.오늘은 보다 꼼꼼하게 읽어서 그런지 많은 글을 썼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