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바이두인 게시물 표시

오랜만에 다시 쓰는 <역사 속 오늘 Today in the Histroy> ‘1397년 5월 6일’

이미지
오늘은 잘못된 정보가 실려 있음을 확인하였음과 동시에 제대로 된 역사적 사실을 ‘각성’시키기 위해서 블로그에 포스트해봅니다. 먼저, 증거 화면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증거화면> 1397년 이씨조선의 제4대 국왕 ‘이도’ 출생... 내용은 따로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그렇지만 사실 여부를 가려야겠습니다. 실제로 양력 1397년 5월 6일에 세종대왕이 탄생했는지를 말이지요. 나무위키, 네이버 백과사전 등을 비롯한 여러 사이트를 통해 음력 1397년 4월 10일인 것은 쉽게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나무위키 속 양력으로 계산된 1397년 5월 7일이 정말 정확한지 확인하기 위해서 <천문우주지식정보 KSAI>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해당 음력 날짜를 양력으로 계산해보았고, 결과는 캡처 화면과 같습니다.  ⓒ 천문우주지식정보 KASI 나무위키 결론 중국의 웹사이트에서 잘못된 정보를 자주 발견하게 되는데, 이런 식의 역사를 날조하는 것 역시 부지기수입니다. 아예 글을 쓰지 말던지, 아니면 기왕 쓰는 거면 제대로 써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래는 포털 사이트 부동의 1위 바이두(百度) 속 콘텐츠 <百科>에서 제공하는 ‘인기 검색어’입니다. 2017년 5월 6일을 기점으로 캡처했으니, 2017년 5월 5~6일 이틀간의 인기 검색어를 보여줍니다. 어제오늘에 걸쳐서, 가장 뜨거운 인기 검색어는 ‘사드’네요. ‘공유’도 보이는데, 한국 연예인의 그 공유가 맞습니다. 공유가 자기 입으로 직접 자신이 공자의 후손이라고 인정했다고 하네요. 실제로 한국의 지도자는 ‘대통령大統領’이라는 표현을 씁니다만, 공산당 정권의 국가에서는 민주주의 국가의 지도자를 ‘총통總統’이라고만 표현합니다. 극소수의 한국을 제대로 알고 있는 중국 지식인들은 ‘대통령大統領’이라고 얘기해줍니다만, 대다수의 언론과 국민들은 여전히 ‘총통總統’이라고만 표기하고 이해합니다. 그리고 중국은 공산당 등 몇몇 정당 ...

바이두(百度;BAIDU)의 독점下에서도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가는, 소고우(搜狗;SOGOU)

이미지
Sogou, 이 이름은 '중국어 병음 입력기'로 유명합니다. 중국어로는 '搜狗輸入法'라고 합니다. 물론,  Google 병음 입력기도 있지만 편리함과 기능성 등 두 측면에서 너무나 큰 차이를 보입니다. 매일 수 억 명이 입력하는 데이터가 쌓여가는 sogou 병음 입력기이기 때문에 구글 병음 입력기와 이미 큰 격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포털 사이트와 관련한 내용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포털 사이트의 경우 대부분이 특정 포털 웹사이트의 독과점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구글이 그러합니다. 대한민국은 NAVER(네이버)가 그러합니다. 대만의 경우, 야후(Yahoo)가 그렇습니다. 중국이 경우는 바이두가 그러하지요. 지난겨울학기 중에 Sogou 웹사이트 내 微信(Weixin ; Wechat) 페이지가 마음에 들어서 자주 이용했다가 바이두와는 다르게 깔끔한 검색 결과에 마음이 들어서 최근에 자주 사용하게 되었는데요. 중국 내에서 바이두는 이미 '구글링'과 같이 '바이두' 자체가 '인터넷 검색을 하다'와 같은 의미를 지니게 되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바이두 쪽에 웬만한 콘텐츠가 몰리기 마련입니다. 소고우 웹사이트는 우리나라의 Daum(다음)과 비슷한 처지에 놓여 있지요. 개인적으로 독과점을 혐오하는 소비자 중 한 사람이라서 일부러 다음 사이트를 이용하려고 노력은 하는 편인데... 말처럼 쉽지는 않네요. 搜狗搜索,紀念阿爾法狗勝利 · 狗勝節 sogou.com 알파고의 승리를 기념하다, 알파고 승리의 날 처음에는 무슨 그림인지는 알았지만 '알파고 승리의 날'이라는 표현이 궁금해서 소고우 백과에 나오는 정보를 살펴보았습니다. 원래는 그냥 검색만 해보고 넘어가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세돌 님의 한자이름을 제대로 표기해놓고 있다는 걸 발견하고는, 일부러 없는 시간에도 글을 올리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