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탄압인 게시물 표시

[공유] 日帝 彈壓에도 꿋꿋했던 한글學會…"오늘날이 더 苛酷"

이미지
[국어死전… 맥끊긴 민족지혜의 심장] (4) 사전 빠진 문화융성정책 국어사전과 한글학회에는 일제강점기보다 오늘날이 더 가혹하다. 나라를 빼앗기고 민족문화 말살 탄압을 겪으면서도 세상에 나왔던 한글학회의 ‘우리말 큰사전’은 20년 넘게 개정판을 내지 못하고 있다. 강산이 두 번 바뀔 세월이니 사전 생명력이 거의 소진한 셈이다. 한글학회는 개정판 발행으로 큰사전에 다시 생명력을 불어넣길 바라지만 돈 문제로 엄두도 못 내고 있다.  클릭하면 큰 그림을 볼 수 있습니다 ◆“국어사전다운 국어사전을 만들었다” 우리말 큰사전은 천신만고 끝에 1957년 완간된 국어대사전의 선구자 ‘조선말 큰사전’의 뒤를 잇는 대사전이다. 조선말 큰사전이 발간된 지 10년 만인 1967년부터 정부 보조금을 받아 5년 동안 30만어휘 규모로 편찬이 기획됐다. 편찬 목표는 오로지 ‘국어사전다운 국어사전’이었다. 이후 정부 지원금 확보가 순조롭지 못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1979년 본격적인 편찬이 시작됐다. 그런데 발간 막바지인 1989년 큰 난관이 생겼다. 1980년 한글학회에서 내놓은 ‘한글맞춤법’을 당시 문교부에서 1989년 개정한 것이다. 새 맞춤법에 맞도록 수정하는 진통을 겪은 끝에 우리말 큰사전은 1991년 40여만단어, 5700여쪽(부록 포함 4권) 분량으로 세상에 나왔다. 역대 국어사전 중 최대 규모였다. 출간 자리에서 한글학회는 “조선말 큰사전 이후에 수없이 출간된 한글 사전들은 필요없는 외국 지명은 물론 고유명사, 잡지 이름과 일본식 한자어까지 그대로 싣고 있는 등 진정한 한글 사전이라고 말하기 어려웠다”며 “비록 완벽하지는 않지만 우리말 큰사전은 국어사전다운 국어사전의 모습을 갖췄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자부심 가득한 평가를 내놓았다.  당시 서울 종로구 신문로의 5층짜리 한글회관은 한 층도 빠짐없이 한글학회가 사용했으며 상근 근무자는 50여명에 달했다. 현재 국립국어원보다 규모가 컸을 정도의 전성기였다.  ◆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