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오늘은 만물이 생장하여 가득찬다는 8번째 절기 '소만(小滿)' 이었습니다.
원본 웹페이지 벼농사를 주로 짓던 우리 조상들은 소만을 모내기 시작의 기준으로 삼았다. 24절기 중 8번째 절기 1년을 넷으로 구분한 것이 봄•여름•가을•겨울의 사계절이라고 한다면, 24절기는 24등분한 계절의 마디이다. 이 24절기는 입춘을 시작으로 대개 15일만에 하나의 절기가 찾아오는데 달마다 대략 2개의 절기가 들어 있다. 24절기 중 8번째 절기인 소만(小滿)은 양력으로는 5월 21일 무렵이고 음력으로는 4월에 들었으며, 태양이 황경 60도를 통과할 때를 말한다. 소만은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들어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의미가 있다. 농사시기 알려주는 시간표 24절기 우리 조상들은 절기를 통해 날씨의 변화에 민감하게 생활해왔다. 농경사회에서 농사를 짓기 위해서 씨를 뿌리고 추수를 하기에 좋은 날을 알아야 하기 때문이었다. 절기는 이처럼 농경사회의 필요에 의해 양력과 관계없이 만들었지만, 태양의 운동을 바탕으로 하므로 양력의 날짜와 일치하게 된다. 실제로 달력을 놓고 보면 24절기는 양력으로 매월 4~8일 사이와 19~23일 사이에 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절기와 절기 사이의 기간은 대부분 15일이며 경우에 따라 14일이나 16일이 되기도 한다. 절기와 관련된 조상들의 삶의 모습을 잘 알 수 있는 문헌자료로 조선 헌종때 정학유가 지은 월령체 장편가시인 ‘농가월령가’를 꼽을 수 있다. 농가의 행사, 세시 풍속뿐만 아니라 농촌풍경을 그림으로 그리듯 표현하고 있어 당시 농촌사회의 상황을 알 수 있으며 교훈적인 내용도 담고 있다. 사월이라 맹하 되니 입하 소만 절기로다 비온 끝에 볕이 나니 일기도 청화하다 떡갈잎 펴질 때에 뻐꾹새 자로 울고 보리 이삭 패어 나니 꾀꼬리 소리 난다 농사도 한창이요 잠논도 방장이라 남녀노소 골몰하여 집에 있을 틈이 없어 적막한 대사립을 녹읍에 닫았도다 면화를 많이 갈소 방적이 군본이라 수수 동부 녹두 참깨 부룩을 적게 하소 무논을 써을이고 이른 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