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오늘은 만물이 생장하여 가득찬다는 8번째 절기 '소만(小滿)' 이었습니다.
원본 웹페이지
1년을 넷으로 구분한 것이 봄•여름•가을•겨울의 사계절이라고 한다면, 24절기는 24등분한 계절의 마디이다. 이 24절기는 입춘을 시작으로 대개 15일만에 하나의 절기가 찾아오는데 달마다 대략 2개의 절기가 들어 있다. 24절기 중 8번째 절기인 소만(小滿)은 양력으로는 5월 21일 무렵이고 음력으로는 4월에 들었으며, 태양이 황경 60도를 통과할 때를 말한다. 소만은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들어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의미가 있다.
우리 조상들은 절기를 통해 날씨의 변화에 민감하게 생활해왔다. 농경사회에서 농사를 짓기 위해서 씨를 뿌리고 추수를 하기에 좋은 날을 알아야 하기 때문이었다. 절기는 이처럼 농경사회의 필요에 의해 양력과 관계없이 만들었지만, 태양의 운동을 바탕으로 하므로 양력의 날짜와 일치하게 된다. 실제로 달력을 놓고 보면 24절기는 양력으로 매월 4~8일 사이와 19~23일 사이에 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절기와 절기 사이의 기간은 대부분 15일이며 경우에 따라 14일이나 16일이 되기도 한다. 절기와 관련된 조상들의 삶의 모습을 잘 알 수 있는 문헌자료로 조선 헌종때 정학유가 지은 월령체 장편가시인 ‘농가월령가’를 꼽을 수 있다. 농가의 행사, 세시 풍속뿐만 아니라 농촌풍경을 그림으로 그리듯 표현하고 있어 당시 농촌사회의 상황을 알 수 있으며 교훈적인 내용도 담고 있다.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에 “4월이라 맹하(孟夏, 초여름)되니 입하, 소만 절기로다”라고 했다. 이때부터 여름 기분이 나기 시작하며 식물이 성장한다. 이때는 씀바귀 잎을 뜯어 나물을 해먹고, 냉이나물은 없어지고 보리이삭은 익어서 누런색을 띠니 여름의 문턱이 시작되는 계절이다.
벼농사를 주로 짓던 우리 조상들은 이 절기를 모내기 시작의 기준으로 삼았다. 물론 요즈음은 비닐하우스 등에서 볏모를 기르므로, 모내기철이 예전보다 훨씬 이르게 되었다. 또한 소만이 되면 보리가 익어가며 산에서는 부엉이가 울어댄다. 이 무렵은 ‘보릿고개’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양식이 떨어져 힘겹게 연명하던 시기이다. 모든 산야가 푸른데 대나무는 푸른 빛을 잃고 가을을 만나듯 그 잎이 누렇게 변한다. 이는 새롭게 탄생하는 죽순에 영양분을 공급해 주기 때문이며 이런 연유로 봄철의 누런 대나무를 가리켜 죽추(竹秋)라고 한다. 이때 나온 죽순을 채취해 고추장이나 된장에 찍어 먹으면 그 맛이 담백하면서도 구수해 계절식 가운데 별미로 치기도 한다. 그밖에 냉잇국도 이즈음의 별식이지만, 소만이 지나 꽃이 피면 먹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절기가 소만에 이르면 남쪽 따뜻한 지방에서부터 감자꽃이 피기 시작한다.
입하와 소만 무렵에 행했던 풍속으로는 봉선화 물들이기가 있다. 봉선화가 피면 꽃과 잎을 섞어 찧은 다음 백반과 소금을 넣어 이것을 손톱에 얹고 호박잎, 피마자잎 또는 헝겊으로 감아 붉은 물을 들인다. 원래 이 풍속은 오행설에 붉은색[赤]이 사귀(邪鬼)를 물리친다는데서 유래하였다. 첫눈이 내릴 때까지 손톱에 봉선화물이 남아 있으면 첫사랑을 만나게 된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외에 풋보리를 몰래 베어 그슬려 밤이슬을 맞힌 다음 먹으면 병이 없어진다고 여겼으며, 풋참밀 이삭을 잘라 껍질을 벗긴 다음 알맹이를 입에 넣고 껌처럼 잘근잘근 씹어 먹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 가뭄이 들기도 해 예로부터 이때를 대비해 물을 가두어 두고 모내기 준비를 하는 반면, 남해안 지방은 비가 잦고 때로는 초여름 장마기로 접어든다. 따라서 소만절기에는 기후변화에 주의해야 하고 비 온 뒤 감기에 주의해야 한다. 이 무렵에 부는 바람이 몹시 차고 쌀쌀하다는 의미로 “소만 바람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도 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