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사드인 게시물 표시

오랜만에 다시 쓰는 <역사 속 오늘 Today in the Histroy> ‘1397년 5월 6일’

이미지
오늘은 잘못된 정보가 실려 있음을 확인하였음과 동시에 제대로 된 역사적 사실을 ‘각성’시키기 위해서 블로그에 포스트해봅니다. 먼저, 증거 화면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증거화면> 1397년 이씨조선의 제4대 국왕 ‘이도’ 출생... 내용은 따로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그렇지만 사실 여부를 가려야겠습니다. 실제로 양력 1397년 5월 6일에 세종대왕이 탄생했는지를 말이지요. 나무위키, 네이버 백과사전 등을 비롯한 여러 사이트를 통해 음력 1397년 4월 10일인 것은 쉽게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나무위키 속 양력으로 계산된 1397년 5월 7일이 정말 정확한지 확인하기 위해서 <천문우주지식정보 KSAI>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해당 음력 날짜를 양력으로 계산해보았고, 결과는 캡처 화면과 같습니다.  ⓒ 천문우주지식정보 KASI 나무위키 결론 중국의 웹사이트에서 잘못된 정보를 자주 발견하게 되는데, 이런 식의 역사를 날조하는 것 역시 부지기수입니다. 아예 글을 쓰지 말던지, 아니면 기왕 쓰는 거면 제대로 써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아래는 포털 사이트 부동의 1위 바이두(百度) 속 콘텐츠 <百科>에서 제공하는 ‘인기 검색어’입니다. 2017년 5월 6일을 기점으로 캡처했으니, 2017년 5월 5~6일 이틀간의 인기 검색어를 보여줍니다. 어제오늘에 걸쳐서, 가장 뜨거운 인기 검색어는 ‘사드’네요. ‘공유’도 보이는데, 한국 연예인의 그 공유가 맞습니다. 공유가 자기 입으로 직접 자신이 공자의 후손이라고 인정했다고 하네요. 실제로 한국의 지도자는 ‘대통령大統領’이라는 표현을 씁니다만, 공산당 정권의 국가에서는 민주주의 국가의 지도자를 ‘총통總統’이라고만 표현합니다. 극소수의 한국을 제대로 알고 있는 중국 지식인들은 ‘대통령大統領’이라고 얘기해줍니다만, 대다수의 언론과 국민들은 여전히 ‘총통總統’이라고만 표기하고 이해합니다. 그리고 중국은 공산당 등 몇몇 정당 ...

싱가포르發 中國 맞춤형 위협 : 사드(THAAD)보다 더 위협적이야

新加坡出狠招针对中国:比萨德威胁更大 최근 싱가포르 해양 이공대학 리처드 비친거(理查德·逼青格) 수석연구원이 홍콩 매체 <아시아 타임즈 온라인>를 통해 “미국은 아시아를 아우르는 미사일 방어 체계를 실전 배치해야 한다.”라는 제목의 글을 발표했다. 글에서 이르기를, “탄도 방어 체계가 이미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실현되었다. 2007년 12월 일본이 아시아-태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미사일 방어 체계를 실전 배치한 국가가 되었고 탄도 미사일을 격추시키기도 했다. 10년 후, 대한민국이 미국이 제어하는 ‘사드’ 배치에 첫 단계로서의 동의를 한다. 북한의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에 직면한 점을 비추어 볼 때, 몇 해 전에 기술적으로 그리고 정치적으로 실행할 수 없었던 한 방법을 논의할 가장 최적의 시기라고 보인다. 그것은 바로 일본에서 호주까지 이어지는 연합 미사일 방어 체계를 설치하는 것이다.” 한 전문가에 따르면, 만약 싱가포르가 정말로 일본에서 호주까지 이어지는 연합 미사일 방어 체계를 배치시킨다면, 이는 배후에 중국을 막으려는 의도가 있다는 것이다. 해당 번역한 기사의 원문이 담겨있는 URL 어느 분석에 의하면, 중국이 싱가포르에 불만을 품게 된 원인으로 타이완과의 장기간 군사 협정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중국 남해와 관련해서 미국과 일본의 편을 드는 것이라고 한다. 모두가 알다시피, 싱가포르는 중국을 제외하고는 유일하게 화교가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국가이다. 화교의 대부분은 광동, 복건, 남해 등 중국의 남동쪽 연해 지역 출신이다. 현재 화교는 싱가포르 인구의 7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서 싱가포르와 중국 양국의 관계가 중국 남해 문제에 있어서 틈을 보이고 있다. 상업용 화물을 다루는 회사가 싱가포르의 무장 군대에 쓰일 장갑차를 타이완으로부터 운송해오는 도중, 홍콩에서 정박할 경우 밀...

[중국어번역]<바이두 백과 TA說> "사드 결사반대" 외치는 한국인의 진면모

이미지
출처 :  http://blog.naver.com/eccet/220907344145   한미 양국이 주한미군 주둔지 사드 설치를 공식 선언한 이래, 중러의 반대뿐 아니라 대한민국 내에서도 연이어 반대의 목소리와 마주하게 되었다. 일전에 사드 배치지역으로 선정된 성주군의 수천명의 민중은 서울역 앞 광장에서 시위를 벌여, 한미 당국이 성주군에서의 사드 배치에 항의하였다. 동영상과 사진 자료가 보여주듯이, 시위 중인 사람들은 '사드 결사반대', '미군 철수' 플래카드를 높이 치켜듦과 동시에 플래카드와 같은 구호를 외치며 불만을 표시했다. 더불어 이와 같은 항쟁은 정부에서 '사드 배치 철회'라는 결정이 있을 때까지 계속될 거라고 이야기했다. 한국 제1야당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임시대표가 말하기를, "우리는 중국과 러시아의 강렬한 반대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을 뿐더러 중국의 실제적인 경제적 제재도 그렇습니다".     도대체 진상(真相)은 어떠할까? 어찌하여 야당에서 이렇게 중국發 경제적 제재를 걱정할까? 한중과 미중 사이의 경제·무역 수치를 대조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중국은 일찍이 미국을 대신해 대한민국의 가장 중요한 무역 파트너가 되었다. 중국의 주문을 잃게 된다면, 대한민국의 수많은 사람들이 실업에 직면하게 되는 압박에 시달릴 것이다. 이는 한국인 중 엘리트층과 대중들이 왜 이렇게 격렬하게 사드 배치를 반대하는지를 설명해준다.     한중무역은 한미무역의 두배이며, 중국의 소비자가 대한민국의 경제를 떠받치고 있다.     예전에 미국은 대한민국의 가장 중요한 무역 파트너였던 반면, 한중 간 무역은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대수롭지 않은 정도의 그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했던 국면은 최근 10년 사이 각색되었다.     한국국제무역협회의 수치에서 보여지듯이, 1990년 한중무역의 총액은 28억 5300만 달러에 그쳤으며, 이 금액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