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모범생이 부자가 될 수 없는 이유

이미지
왜 A학생은 C학생 밑에서 일하게 되는가 그리고 왜 B학생은 공무원이 되는가|로버트 기요사키 지음|안진환 옮김|민음인|476쪽|1만6000원 긴 제목에서 영어 알파벳은 대학 학점이 아니다. A는 'Academics(학자형)' B는 'Bureaucrats(관료형)' C는 'Capitalists(자본가형)'를 뜻한다. 학교에서 모범생으로 자란 학자형 학생은 봉급 생활자가 되어 일자리를 창출하는 자본가형 밑에서 일하고, 책임감은 있지만 조직의 보호에 숨으려는 관료형 학생은 공무원이 된다는 뜻이다.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는 1997년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출간으로 일약 세계적 베스트셀러 작가 반열에 올랐다. 원고를 받아주는 출판사가 없어 자비로 출판했는데 오프라 윈프리 토크쇼에 출연한 이후 세계 109개국에서 출간되며 3000만부가 팔렸다. 국내에서도 외환 위기 이후 창업 바람을 타고 300만부가 팔리는 밀리언셀러가 됐다. 하지만 많은 이가 제대로 된 준비 없이 창업했다가 실패하는 부작용도 적지 않았다. 이번 책에서는 'C학생'이 되도록 가르치지 않는 학교 시스템을 신랄하게 비판하면서 자본가(기업가)가 되기 위한 교육을 강조한다. 기요사키는 "왜 학교에서는 돈에 대해 가르치지 않는가. 학교 시스템은 아이들을 피고용인, 즉 조직의 직원인 'A학생'이나 'B학생'이 되도록 훈련한다. 새로운 일자리를 만드는 'C학생'을 키우는 데는 관심이 없다. 많은 젊은이가 자본가를 적대하는 태도로 무장한 채 사회에 나온다"고 비판한다. 그는 "학교가 아이들을 현실 세계에 맞게 준비시키지 못한다면 가장 가까우며 중요한 교사인 부모가 나서야 한다"고 말한다. '가난한 아빠'와 '부자 아빠'의 비교는 여전히 등장한다. 기요사키의 친아버지인 '가난한 아빠'는 전형적 A학생이었다. 미국 하와이...

[공유] 구글링 잘하는 방법.txt

1. 반드시 포함될 단어/문장을 지정하기 - 검색어의 처음과 끝에 큰 따옴표(")를 입력하면 해당 단어나 문장이 반드시 포함된 사이트만 검색할 수 있습니다. ex) "강남 스타일" 을 구글 검색어 창에 입력하면 정확히 강남 스타일이 표시 된 검색어만 보여줍니다. 2. 제외할 검색어를 지정하기 - 검색어 앞에 마이너스(-)를 입력하면 해당 검색어를 제외한 결과를 표시합니다. ex) 갤럭시 -아이폰 을 구글 검색어 창에 입력하면 아이폰을 제외한 갤럭시에 대한 검색 결과를 표시해줍니다. 3. 유의어를 검색하기 - 검색어 앞에 물결표시(~)를 입력하면 검색어와 유의한 의미를 가진 자료를 보여줍니다. ex) ~저렴한 맛집 을 구글 검색어 창에 입력하면 저렴한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 여러가지 검색어를 같이 보여줍니다. 4. 단어의 정의를 검색하기 - 검색어 앞에 'define:' 을 입력 후에 검색하면 해당 검색어의 정의를 보여줍니다. ex) define:우주 를 검색하면 가장 상단에 우주에 대한 사전적 정의를 보여줍니다. 5. 계산기 - 단순한 사칙연산 및 수식을 입력하면 계산기가 수식을 계산하여 줍니다. 또한 'answer to life the universe and everything =(삶, 우주, 그리고 모든것에 대한 해답)' 을 입력하면 '42' 라는 결과가 표시됩니다. 이는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라는 작품에 나오는 결과로 이스터에그입니다. ex) 1+2+3+4+5= 를 검색하면 가장 상단에 해당 수식의 해답을 보여줍니다. 6. 빈 칸 채우기 - 정확한 검색어가 떠오르지 않을 때에는 문장 사이에 별표(*) 를 입력하면 빈 자리를 체워서 결과를 표시해줍니다. ex) 아인슈타인 * 이론 을 검색하면 아이슈타인의 이론인 상대성이론을 같이 표시하여 줍니다. 7. 환율 및 단위 변환 ...

【공유】식물은 결코 포기하지 않는다 植物端端不弃!

이미지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default/community/2078/read?bbsId=G005&articleId=22920870&objCate1=497&itemId=143

[공유] 다른 시대에 사는 것에 환상을 가지고 있는 분들께

이미지
http://boonsuck.blog.me/220117942712 [출처]   다른 시대에 사는 것에 환상을 가지고 있는 분들께 | 작성자   분석

[공유] 홍석천의 다이어트 명언

이미지
http://boonsuck.blog.me/220025284811

[공유] 한국에 있는 중국 최고의 국보 유물

이미지
중국산 도자기가 건너건너 현재 소유자에게 왔음 건너건너 올때까지 역대 소유자들 전부 그냥 꽃무늬가 수려하고 독특하다고 생각했지 별 다른 특이한 점을 몰랐음 현 소유주도 그냥 TV받침대 옆에 잡동사니 담아두거나 애들 장난감 담아두는 용도로 사용 어느 날 TV보다가 도자기가 눈에 들어와서 자세히 보다보니 중국 고문자랑 닮아서 의뢰해보니 갑골문! 그것도 적힌 내용이 보통 내용이 아님 "불길하게도 대낮에 금성이 나타났습니다. 신(辛)의 군대를 출병시킬까요? 주후서백(周侯西伯)의 군대와 그의 우군들이 주(州) 서읍으로부터 혁명을 일으키는 일이 없을까요? 조왕 문정과 부왕 제을께서 돕고 지켜주실까요? 엄정한 기강이 무너지고 방임되는 일이 있을까요? 과연 서백후(西伯侯)로부터 그러한 일이 있었다." "조왕 문정과 부왕 제을이시여! 문(文)을 치기 위해 저녁에 제를 올리면, 우리 군대가 승리를 획득할 수 있을까요? 정수(井宿)에 제를 올리면 짐이 재앙을 막을 수 있을까요? 왕이 성조를 살펴 길흉판단을 해 가로되, '각성(角星)이 밝게 빛나니, 나는 문(文)의 세력을 정벌해 배(나라)를 평안하고 고요하게 이끌 것이고, 승리를 획득한 후에는 서읍을 분봉할 것이며, 재앙은 능히 막을 수 있을 것이다'." (해석 박대종) 은나라 최후의 황제 제신(주왕)이 반란을 일으킨 주나라 무왕을 토벌하러 가면서 점을 친 내용 (주왕은 주지육림이라는 말이 나오게된 장본인이자 달기의 짝 봉신연의가 이때를 배경으로 한 내용) 옥스퍼드 감정공사에서 측정결과 1700~2700년 전 물건 참고로 갑골이 발견된 연대가 1899년   [출처]   한국에 있는 중국 최고의 국보 유물 | 작성자   분석

'두통'과 관련하여

요 근래에 들어서 심해지고 반 년정도 겪고 있다고 짐작되는 "두통" 특히 긴장성 두통이 거의 확실한 것 같다. 설마 편두통으로 발전하지 않겠지... 특히 점심을 먹고 난 후 그리고 저녁을 먹고 난 후가 특히 심하던데... 병원가기가 싫어서 이렇게 공부?!해서 습관을 고쳐서 구지 병원을 안 가도록 해야지^^

[역사] 오늘 세계사 강의를 듣다가 열 받아서 글 하나 올려봅니다.

이미지
대한민국 통일부의 사진자료 "역사'는 스스로 찾아가고 알아 갈 수 밖에 없습니다. 아쉽게도... 현대인의 3대 교양 중 하나로 일컫는 '역사'를 제발 중요시 여깁시다." 당사국인 대한민국과 북한에 더해, 전투병을 파병한 참전국의 숫자로 보면 UN군 16개국(미국 이외에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그리스, 터키, 필리핀, 태국, 콜롬비아, 에티오피아,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캐나다,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중국의 총 17개국. 의료지원부대를 파병한 국가는 스웨덴, 인도, 덴마크, 노르웨이,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여긴 북한 편) 6개국이다. 그 외에 물자 지원을 포함, 대한민국을 지원한 국가는 현재까지 밝혀진 것만 총 67개국이다. 6.25 전쟁은 한편으로 역사상 가장 많은 국가가 단 한 나라(대한민국)를 돕고자 지원한 것으로 기록된 전쟁이며 이에 따라 기네스북에 오른 전쟁이기도 하다. 당시 대한민국에 병력, 물자, 전후복구를 지원한 나라는 무려 67개국으로, 당시 세계 국가들 중 무려 73%에 달한다. 이 중에는 아이티, 인도네시아처럼 별다른 이해관계가 없거나 경제력이 낙후된 국가들조차 포함될 정도이다. 특히 영국이나 프랑스 등은 이전에 2차 세계대전까지 타국의 침공을 당했던 경험도 있었기 때문에 이들 국가들은 그 때의 참상을 기억하면서 참전하였다고 한다. 출처:(2014.09.15 접속함) https://mirror.enha.kr/wiki/6.25%20%EC%A0%84%EC%9F%81#s-6.1.5  기네스북 영문, 국문      기네스북 영문판                                           

[공유] SK케미칼 안동 백신공장 식약처서 승인

SK케미칼은 경북 안동시에 구축한 백신공장이 식약처로부터 의약품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적격 승인을 받았다고 18일 밝혔다. SK케미칼은  현재 식약처에서 제품허가 심사를 받고 있는 세포배양 방식 독감 백신 등을 이 공장에서 생산할 예정이다.

[공유] 컴퓨터 용어 번역, 쉬운 우리말 풀이가 아쉽다

이미지
html/css 관련 글을 쓰면서 외국 사이트를 많이 참조 합니다. 영어로 된 문서이다 보니 몇 번 읽고 나서 이해할 수 있는 우리말로 풀어 쓰려고 노력합니다. 하지만, 영어 본래 의미와 완전히 일치하는 우리말 용어를 찾기가 어려울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영어 용어를 그대로 쓰고픈 유혹에 휩싸이고, 그렇게 굴복해서 이미 영어 원음을 그대로 따다 한국말로 풀어 쓴 용어가 제 블로그에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html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용어로 인라인 요소와, 블록 요소라고 있는데 inline element, block element. 사전에 in line의 의미는 '일렬로 늘어선' 또는 '한줄로 선' 이란 뜻이고 block은 '구역' '단지'란 의미입니다. html 강좌를 시작하면서 초반에 inline element를 '줄 속에 끼워 넣는 요소'라고 해석했고 block element를 '묶음 요소'라고 설명 했어요. 정확히 말하면 inline element도 '묶음 요소'에 해당합니다. block는 넓은 범위를 묶는 요소에 해당하고요. 두 단어를 대비하면서 설명할 만한 대체 단어를 찾지 못해 어느 순간부터 '인라인 요소' '블록 요소'라고 쓰고 있어요. 또 다른 예로 list item(항목)에서 marker와 bullet 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하는데 두 단어는, 항목 앞에 표시되는 기호(작은 원이나, 사각형, 별표 등 을)가리킵니다. 우리말로 해석할 때 '항목 기호'라고 해야 적당할 듯 한데... 하지만 '항목 기호'라고 했을 때 다른 사람이 이해할 수 있을까란 생각 때문에 이 단어를 쓰기가 망설여지더군요^^ html과 css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