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풋볼리즘W③] 축구전술 역명제의 혁명
[풋볼리즘W③] 축구전술 역명제의 혁명
축구 정말 좋아한다. 하지만 유벤투스가 챔피언스리그 16강 진출 못 해서 재미없었던 와중에 바르셀로나가 탈락하다니 참 재미있다.
시메오네 감독이 이겼다 ⓒgettyimages/멀티비츠
|
풋볼리즘 시리즈로 [풋볼리즘W]를 연재합니다. [풋볼리즘W]는 지구촌 축구(World Football)와 월드컵(World Cup)을 주제로 축구 팬들과 소통하고 싶은 이야기들을 다룰 예정입니다. [풋볼리즘W]를 통해 다뤘으면 하는 주제와 나눴으면 하는 이야기가 있으면 함께 하겠습니다. [풋볼리즘W]는 [풋볼리즘K]와 함께 격주로 여러분들을 찾아갈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편집자 주>
이탈리아 축구는 비토리오 포조 감독의 메토도 시스템으로 1930년대 두 차례나 월드컵을 제패했다. 상대적으로 이전 시스템보다는 수비 균형을 중시한 형태였지만 쥐세페 메아자, 지오반니 페라리 등을 앞세운 여전히 공격적인 전술의 하나였다. 메토도 시스템으로 이탈리아는 당대 세계 축구의 중심에 설 수 있었다.
하지만 이탈리아 축구는 그 이후 2차 세계대전과 아주리의 주축을 이루던 토리노 선수들이 수페르가의 비극으로 사망하는 사건 등이 겹치면서 길을 잃고 말았다. 이탈리아 축구가 방향을 잃고 멈추어 있는 동안 헝가리, 브라질과 같은 팀들이 파괴적인 공격 축구로 세계 축구를 지배하기 시작했다. 세계 축구를 선도해가던 입장에서 쫓아가야 하는 처지로 내려앉은 이탈리아 축구는 공격 축구라는 ‘같은’ 방식으로는 앞서 가는 팀들을 잡기 쉽지 않을 것이란 결론에 도달한다. 출발선이 다르다면 ‘다른’ 길을 선택하는 것도 또 하나의 방법이란 접근이었다. 고민 끝에 이탈리아는 세계 축구 전술사에 한 획을 그은 엄청난 아이디어 하나를 내놓기에 이른다.
축구의 일반 명제를 뒤집는 역명제였다. ‘축구는 골을 넣어야 이기는 경기다’가 축구에 있어 명제라 할 수 있는데 이탈리아는 이를 뒤집는 ‘실점하지 않으면 이길 수 있다’는 역발상과 마주한다. 세계 축구사의 한 축을 수놓은 카테나치오의 시작이었다. 빗장 수비란 말로 풀이되곤 하는 카테나치오의 이탈리아 축구는 멀게는 엘레니오 에레라 감독, 가깝게는 아리고 사키 감독까지 수많은 감독을 거쳐 진일보하면서 아주리만의 경쟁력과 강력함으로 세계 축구를 지배했다. 당대에 내로라하는 공격 축구를 잡는 이탈리아 축구만의 매력을 발산했는데 이는 ‘공격하면 이길 수 있다’는 축구의 명제를 뒤엎어 제압하는 이탈리아 축구 역명제의 위력이자 역습이었다. 축구 전술에 정답은 없으며 항상 같은 길만이 답은 아니라는 걸 증명한 경험적 자산이기도 했다. 전술은 머물지 않는다. 움직이며 상대적이다.
축구의 일반 명제를 뒤집는 역명제
지난 새벽 바르셀로나가 ‘잡혔다.’ 말 그대로 힘 한 번 제대로 써보지 못하고 최근 6시즌 연속 챔피언스리그 4강에 진출했던 천하의 바르셀로나가 잡혔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잡았다.’ 글자 그대로 잡았다. 바르셀로나의 약한 고리를 정확하게 꿰뚫어 상대의 손발을 묶어버렸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40년 만의 4강이다. 이변이라면 이변이지만 경기 내용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완승이었다. 전술적으로 완벽한 승리였다. 승패를 나눈 요인을 팀과 경기 안팎으로 따지면 여러 가지이겠지만 전술의 선택과 대응이라는 측면만 따진다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시메오네 감독의 완벽한 전술적 승리였다. 경기가 끝난 뒤 시메오네 감독은 “지적인 승부”였다고 말했고 바르셀로나의 마르티노 감독은 “경기 초반 싸움에서 밀렸다”고 했다. 무엇이 지적이었고 또 무엇이 초반 흐름을 갈라놓은 것일까?
바르셀로나 축구는 현대 축구 주류 질서 중에서도 주류다. 티키타카로 표현되는 패싱 게임과 높은 점유율, 포지션 파괴와 무한 스위칭 등 현대 축구의 질서와 전술적 특징을 말할 때 빼놓고 설명할 수 없는 팀 중 하나가 바로 바르셀로나다. 수많은 팀과 감독들이 자신들의 미래상을 밝힐 때 바르셀로나를 그 대상으로 말할 정도다. 실제로도 바르셀로나는 세계 축구 전술 발전사의 꼭짓점에 위치해 있기도 하다. 19세기 말 근대 축구 태동기 이후 한 동안 축구 전술이라고 하면 골을 넣는 공격에 매몰돼 있었을 만큼 매우 공격적인 형태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공격 일변도에서 무게 중심을 점차 아래로 내렸고 현재는 공격과 수비를 구분하지 않는 혹은 동시에 파괴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공수 밸런스에 중점을 두는 형태로 발전했다. 공수 균형에 초점을 맞추다 보니 특정 포지션 혹은 선수에 포커스를 맞춰 전술을 짜기보단 팀 전체를 살피고 그에 맞는 그림을 그리는 것이 중요하게 됐고 이를 전체적으로 통제하는 감독이 주도권을 쥐고 가는 시대를 맞았다.
요약하자면 세계 축구 전술의 발전사는 공격→공수 균형, 개인→팀워크, 선수→감독의 흐름과 방향으로 진화했다고 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팀에 초점이 맞춰진 진일보 형태인데 팀으로서 일관된 철학(티키타카)을 공유하고 있으며, 팀으로서 공을 오랫동안 소유(높은 점유율과 공수 밸런스)하는 동시에 팀으로서 경기를 지배(압도적 전력)해나가는 바르셀로나를 가리켜 현대 축구의 주류라 하는 건 이 때문이다.
초전진 압박과 후퇴 압박의 통제
하지만 지난 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바르셀로나의 이러한 자부심과 강력함을 붕괴시켜 버렸다. 바르셀로나의 강점과 약점 모든 걸 통제해 버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였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바르셀로나의 결정적 통제는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바르셀로나 전술의 시작점이자 특징인 후방 빌드 업을 출발선부터 틀어막는 초전진 압박이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전진 압박 위치는 실로 대단했다. 바르셀로나의 호세 핀토 골키퍼 위치까지 올라가는 초전진 압박 전술을 구사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다비드 비야, 코케, 아드리안 로페스 등 공격진은 부스케츠, 마스체라노, 바르트라, 핀토 등 바르셀로나의 수비형 미드필드와 골키퍼 사이에서 쉴 새 없이 달려 공세적 압박을 가하면서 바르셀로나가 특유의 패싱 게임으로 경기를 조립해 들어오지 못하도록 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이날 경기에서 바르셀로나의 골대를 세 차례나 때렸는데 대개가 높은 위치에서 압박을 하다 뺏은 공을 빠르게 치고 올라가 연결한 슈팅이었다.
티키타카처럼 수비라인에서부터 짧은 패스가 시작돼 점유율을 높게 가져가면서 경기를 지배하는 팀들의 약한 고리 중 하나가 상대의 높은 위치 전방 압박이다. 지난 새벽 경기처럼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상당히 전진해 바르셀로나의 골키퍼와 수비라인에 강한 압력을 가할 경우 후방에서 짧은 패스 조립이 시작되지 못하고 전방으로 크게 연결되는 긴 볼이 연결되는 장면이 잦아질 수 있는데 이럴 경우 그 팀은 자신들만의 축구를 하지 못하고 무너질 수 있는 위험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 특히 이번 경기의 경우 바르셀로나 후방 패스 조립의 시작점이라 할 수 있는 빅토르 발데스 골키퍼와 헤라르드 피케가 부상으로 결장했던 터라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강력한 전진 저항을 받은 바르셀로나의 후방 패스 조립은 더욱 힘들 수밖에 없었다. 특히 발 기술이 떨어지는 핀토 골키퍼의 능력은 바르셀로나에겐 치명적이었다. 결과적으로 상대의 전술적 특징과 약한 고리를 제대로 파고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전술적 승리라 할 수 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무서웠던 또 한 가지는 앞서 언급한 초전진 압박이 먹히지 않았을 때의 모습이었다. 강도가 비슷한 압박을 가하더라도 그 압박의 위치(높이)가 어디냐에 따라 전술적 형태와 특징은 달라질 수밖에 없다. 예컨대 압박의 시작 위치가 상대 진영이냐, 하프라인이냐, 자기 진영이냐 등이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처럼 높은 위치에서 압박을 가할 때는 상대가 그 압박에서 벗어났을 경우 재빠르게 진영을 내려 위험 지역을 커버하는 게 중요한데 전술적으로는 ‘상대가 높은 위치에서의 압박에서 벗어나 공을 완전히 소유한 채 종방향으로 자기 진영으로 공을 옮기고 있을 때’ 압박 라인을 내려야 한다. 상대가 전진 압박에서 벗어나 밀고 들어온 상황이다. 이러한 경우를 상대의 공이 온(ON) 상황이라고 하고 반대로 상대가 공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고 있거나 백패스 등으로 물러서는 경우를 상대의 공이 오프(OFF) 상황이라고 하는데 상대의 공이 오프 상황일 때는 전체 라인을 올린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바르셀로나의 공격 온과 오프에 맞춰 효과적으로 전체 라인을 통제했는데 뚫릴 경우 라인을 내리는 후퇴 압박 또한 전진 압박만큼이나 강력했다.
세계 축구 전술의 순환과 진보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전체 라인을 내릴 경우 눈에 띈 또 한 가지는 바르셀로나의 특징을 감안한 선택적 방어였다. 바르셀로나는 터치라인을 따라 깊숙이 돌파를 시도한 뒤 크로스를 올려 높은 볼로 경합하는 형태의 공격을 즐기지 않는다. 직선적인 윙 공격의 형태다. 공격의 폭은 넓게 벌리지만 측면으로 갔던 공을 다시 중앙으로 옮겨 컷백 등의 짧은 연결을 통해 문전에서 슈팅을 때리는 걸 즐기는 바르셀로나다. 중앙 집중 전술 운용인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철저하게 이러한 바르셀로나의 중앙 집중 공격에 대처했다. 터치라인 쪽의 공간은 상대적으로 내주더라도 메시나 네이마르, 이니에스타 등이 페널티 박스 정면 쪽에서 슈팅을 때리는 것을 철저하게 봉쇄했다.
바르셀로나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초전진 압박에서 벗어나 어렵사리 상대 골문까지 접근하더라도 효과적 슈팅이라는 결과물을 얻지 못한 이유가 여기에 있었다. 바르셀로나는 11개의 슈팅을 때렸지만 이 중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5개만이 유효 슈팅이었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14개의 슈팅 중 9개가 유효 슈팅으로 연결됐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의 선택적 방어와 효과적 전술 운영은 바르셀로나가 이날 경기에서도 패스 횟수 788개(이중 611개 성공) vs 381개(219개 성공), 볼 점유율 64% vs 36%로 수치적으로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 앞섰지만 실질적 경기 흐름과 내용적으로는 고전을 면치 못한 결과로 이어졌다.
바르셀로나는 어디로 가는가? ⓒgettyimages/멀티비츠
|
지난 새벽 경기로 바르셀로나식 축구의 종말을 고하거나 주류 질서의 변화를 말하는 것은 지나치고 합당하지도 않다. 하지만 또 한편으론 최근 몇 년간 줄기차게 거센 도전에 직면했던 바르셀로나 축구가 무적의 독보적 위치에 서 있거나 대체하거나 대응할 전술을 찾지 못해 고민하던 때는 넘어선 건 분명해 보인다. 2000년 이후에만 세 차례나 유럽 챔피언에 오른 바르셀로나지만 그 내부의 세대교체라는 문제를 떠나 상대팀들의 집요하면서도 강력한 도전에 절대적 위치가 이미 크게 흔들렸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메시를 위시한 바르셀로나를 과연 어떤 팀이 꺾을 것인지 그래서 무적이란 수식어가 익숙하게 따라 붙었지만 지금은 어색하거나 마땅치 않은 표현이 돼 버렸다. 하긴 생각해보면 제아무리 유럽과 세계 축구를 지배했던 팀들도 그 권세가 10년 넘게 지속된 경우는 역사적으로도 찾아보기 힘들다. 전술적으로도 그러한데 특정한 전술이 유행하거나 시장을 지배하게 되면 그 전술의 지배 체제를 무너뜨리기 위한 새로운 전술이 태동하기를 반복한 세계 축구의 전술 역사다. 그렇게 보자면 바르셀로나의 위기 혹은 도전이 새로운 일만은 아닐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지난 새벽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와 바르셀로나의 경기 내용과 결과는 지난 몇 년간 세계 축구의 명제로 군림했던 바르셀로나의 끝을 말하는 건지도 모른다. 바르셀로나는 여전히 강하지만 명제로서의 독보적 위치는 이제 내려놓아야, 아니 내려놓을 수밖에 현실과 거듭해 마주하고 있는 바르셀로나다. 바르셀로나라는 명제와 싸우던 역명제들이 이젠 명제가 되기 위해 싸우는 그렇게 순환하고 진일보하는 세계 축구의 전술 역사다.
그렇게 놓고 보면 이 말만은 스포츠 세계에서 영원한 명제인 듯하다.
영원한 승자도 영원한 패자도 없다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