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사랑 2015년 7월 128호 <한국인의 마음>
이번 호의 첫 시작은 아래와 같이 시작된다. '자유분방(自由奔放)'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이 생각하고 시도하다. 격식과 도리를 중시하면서도 하나의 틀에 갇히기를 경계하고 새로운 생각과 과감한 변화에 대해 열린 자세를 가졌던 우리 민족. 옛것의 본질을 지키며 새것의 가치를 창조했던 그 창의적이고 자유분방한 마음이 문화재를 통해 면면히 이어져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첫 시작의 절반은 수긍이 가고 절반은 납득할 수 없는 내용이다. 이성계의 조선이 개국되면서부터는 솔직히 '자유분방' 이라는 표현을 써도 괜찮은 건지 잘 모르겠다. 아무쪼록 첫 시작은 엄청나게 포장한 느낌이 든다. 특집 1 '자유분방'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로이 생각하고 시도하다 최치원, 원효, 서경덕, 신채호 등 네 위인을 소재로 하여 김성우 철학저술가께서 우리나라 전통사상 속 자유분방과 의미를 현대에 맞게끔 글을 썼다. 가장 먼저 최치원의 풍류를 이야기하고 있다. 최치원의 그것은 방탕과는 구분되는 의미로서 '접화군생 接化群生'을 제시하고 있다. 한 사람의 자유로움은 모든 사람이 자유로울 때 진정으로 얻어진다. 이렇듯 정치 리더나 사회 리더가 뭇 생명과 만나 서로 신사는 스타일로 변모하는 것이 '접화군생' 의 진정한 뜻이며 풍류의 원리인 것이다. 다음은 김성우 님의 표현을 빌어 대자대비 大慈大悲한 무애행으로 민중의 성자가 되신 원효 대사를 이야기 한다. 원효 대사는 풍류도의 '접화군생'을 불교식으로 실천하여 왕실중심의 불교를 민중의 불교로 전환시켰다고 평하고 있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원효대사는 "일찍이 분황사 芬皇寺에 살면서 『화엄경소 華嚴經疏』를 지었는데 제4권 『십회향품 十廻向品』에 이르러 마침내 절필을 한다." 라고 했다. 원래 회향廻向이란 말의 의미는 보살이 대비심大悲心으로 현재까지 쌓은 공덕 전부를 일체一切의 중생에게 돌려서 그들을 구제하는 행위를...